본문 바로가기

shard2

Elasticsearch rack_id 설정을 통한 Replica shard 배치 Elasticsearch rack 설정을 통한 샤드 배치 보다 더 안정적인 Elasticsearch cluster를 운영하기 위해서는 각각의 데이터 노드가 별도의 서버 Rack에서 동작하도록 설정하는 것을 권장하고 있습니다. 그 이유는 서버의 하드웨어의 이슈가 발생하거나 서버실에서의 화재 또는 네트워크의 문제로 인하여 해당 서버랙이 문제가 발생하게 되면 해당 서버랙에 가동 중인 모든 노드에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만약 문제가 발생한 서버랙에 여러 대의 데이터 노드가 동작하고 있었다면 치명적인 데이터 유실이 발생하게 됩니다. 그렇기 때문에 각각의 서버랙을 구분하여 인덱스의 Primary shard와 Replica shard를 동일한 서버랙에 배치하지 못하도록 설정을 한다면 서버랙에 문제가 발생하여도 데.. 2023. 10. 28.
Elasticsearch reroute 샤드를 다른 노드로 이동시키기 reroute Elasticsearch에서는 기본적으로 각각의 노드에 샤드가 일정 비율로 균등하게 배치되도록 하고 있습니다. 그래도 뜻하지 않게 특정 노드에 샤드가 많이 배치될 수도 있고 어떤 인덱스는 샤드의 크기가 매우 커서 노드의 스토리지 사용량이 불균형이 발생할 수도 있습니다. 이런 경우 Elasticsearch에서 reroute를 이용하여 해당 문제를 해결할 수 있습니다. 샤드 재배치 해당 인덱스의 특정 샤드를 reroute를 이용하여 "elasticsearch-data-1"에서 "elasticsearch-data-3"노드로 이동하도록 하겠습니다. curl -X POST http://localhost:9200/_cluster/reroute -H 'Content-Type: application/js.. 2023. 10. 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