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index를 사용하는 이유
Elasticsearch를 사용하다 보면 ilm(Index life management)로 인하여 일정 기간이 지나면 인덱스가 지워집니다. 그러한 상황에서 중요한 로그 데이터를 보관하기 위해서 기존의 인덱스를 복사해 두는 것이 중요합니다. 이럴 때 사용하는 것이 reindex입니다.
사용방법
api | POST http://localhost:9200/_reindex |
header | Content-type: application/json |
body | { "source": { "index": "기존_인덱스_명" }, "dest": { "index": "변경할_인덱스_명" } } |
reindex를 사용했던 상황
로그의 내용을 분석하기 위해 ilm을 통해 로그 인덱스가 삭제 되지 않도록 인덱스명 변경하기
api | POST http://localhost:9200/_reindex |
header | Content-type: application/json |
body | { "source": { "index": "my-log-index-2021-08-24" }, "dest": { "index": "backup-log-index" } } |
참조
https://www.elastic.co/guide/en/elasticsearch/reference/current/docs-reindex.html
Reindex API | Elasticsearch Guide [7.14] | Elastic
Deprecated in 7.6. Sort in reindex is deprecated. Sorting in reindex was never guaranteed to index documents in order and prevents further development of reindex such as resilience and performance improvements. If used in combination with max_docs, conside
www.elastic.co
'Elasticsearch > Elasticsearch 데이터' 카테고리의 다른 글
Elasticsearch Array 형식으로 저장하기 (0) | 2021.09.01 |
---|---|
Elasticsearch Object 형식으로 저장하기 (0) | 2021.08.31 |
Elasticsearch bulk 배치 처리 (0) | 2021.08.30 |
Elasticsearch 데이터 CRUD (0) | 2021.08.29 |
Elasticsearch의 Index ilm policy로 일정기간 지나면 인덱스 삭제하기 (0) | 2021.08.25 |